맨위로가기

박정석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정석은 웅진 스타즈 창단 멤버로 데뷔하여, 2002년 SKY 스타리그에서 임요환을 꺾고 우승하며 '영웅토스'라는 별명을 얻은 프로게이머이다. 2003년 KT 롤스터로 이적하여 전성기를 구가했으나, 2007년 이후 개인리그에서 부진했다. 2008년 공군 ACE에 입대하여 프로리그 통산 100승을 달성했으며, 2010년 제대 후 KT 롤스터로 복귀하여 2011년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2012년 은퇴 후 나진 e-엠파이어와 CJ 엔투스 LOL팀 감독을 역임했고, 현재는 프레딧 브리온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리그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스타리그 우승자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공군 ACE의 선수 - 한동욱
    한동욱은 2003년 스파키즈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데뷔, 아마추어 신분으로 스타리그에 진출한 마지막 선수이자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 우승,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 기록을 가진 선수이다.
  • 공군 ACE의 선수 - 이주영 (프로게이머)
    이주영은 드론 활용 전략으로 "드론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자 GSL 해설가로,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하며 대 프로토스와 대 저그전에서 강점을 보였다.
  • 웅진 스타즈의 선수 - 박상우 (프로게이머)
    박상우는 이스트로와 웅진 스타즈에서 활동하며 프로토스전 12연승과 저그전 11연패를 기록하는 등 특정 종족전에 극단적인 성적을 보였던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다.
  • 웅진 스타즈의 선수 - 노준규
    노준규는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삼성 갤럭시 칸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2017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진행하며 개그맨 정형돈과 닮은 외모로 '항도니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박정석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카이 프로리그에 출전한 박정석
이름박정석 (朴正石)
국적대한민국
출생지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종족프로토스
아이디'[Oops]Reach'
별명영웅토스, 무당토스, 등짝
소속팀프레딧 브리온 (단장)
로마자 표기Bak Jeong-seok
프로게이머 정보
아이디Reach
역할프로토스
참가 리그Proleague
게임StarCraft
League of Legends
Hanbit Stars (???? - ????)
KTF MagicNs (???? - 2008)
Air Force ACE (2008 - 2010)
KT Rolster (2010 - 2012)
웹사이트TeamLiquid Progaming DataBase

2. 선수 경력

2001년 5월 웅진 스타즈의 창단 멤버로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한 박정석은 SKY 스타리그 2002에서 임요환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영웅토스'''라는 별명을 얻었다.

2003년 같은 팀 소속이었던 변길섭과 함께 웅진에서 KT 롤스터로 이적했고, 이후 프로리그와 개인리그 모두 종횡무진 활약하며 팀의 준우승을 이끌어내는 등 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러나 DAUM 스타리그 2007 8강 이후 개인리그에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고, 프로리그에서도 주로 팀플에만 출전하는 등 부진의 늪에 빠졌으며, 결국 2008년 8월 22일 오영종, 한동욱과 함께 공군 e스포츠병 모집에 최종 합격하였다.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특히 2009년 1월 20일 삼성전자 칸의 송병구를 상대로 입대 후 첫 승이자 개인전 787일 만에 첫 승을 기록했으며, 4월 21일 KT 롤스터의 박지수에게도 승리하면서 프로리그 사상 최초의 100승을 달성하였다. 또, 5월 6일에는 위메이드 폭스 이윤열을 물량으로 압도하며 3년 6개월 만에 승리했다.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예선에서 이인수, 박성준2, 전상욱을 차례로 꺾고 36강에 올랐다. 이는 다음 스타리그 2007 이후 3년 만에 오른 스타리그이다. 구성훈에게 패배하여 16강 진출전 출전이 좌절되었다. 10월 30일 공군에서의 군 복무를 마치고 제대한 뒤, 그 다음날인 31일에 친정팀인 KT 롤스터로 복귀했다. 제대 후 박태민과 맞붙었지만, 아쉽게 패배하였다.

2011년 1월 26일 웅진과의 경기에서 신재욱을 물리치고, 11연패를 끊으면서 군 전역 후 KT로 복귀해서 첫 승을 거뒀다. 2011년 8월 19일 드디어 소속팀 KT가 SK텔레콤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박정석은 프로게이머 데뷔 후 처음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리게 되었다. 박정석은 한빛 시절부터 KTF 시절까지 홍진호와 함께 팀리그 준우승만 7번 했었다. 팀내에서 팀의 주장이자 정신적 지주의 역할을 하였다.

2012년 4월 8일 프로리그 결승전을 마지막으로 프로게이머 생활을 공식 마감하였고, 2012년 5월 6일에 은퇴가 공시되었다.


  • 2002년 SKY 스타리그 우승
  • 2002년 펩시 트위스트 2차 KPGA 투어(이후 MSL로 알려짐) 준우승
  • 2003년 마이큐브 스타리그 4위
  • 2004년 질레트 스타리그 준우승
  • 2005년 UZOO MSL 준우승

2. 1. 데뷔 및 초기 활동 (2001-2002)

박정석은 두 살 위인 형을 통해 처음 스타크래프트를 접하기 시작했으며, 2000년에 ‘OOPS’길드에 들어가 팀플레이를 배우면서 본격적으로 게임을 시작했다. 이후 가정 형편 상 게임을 할 수 없었던 박정석은 주변인들의 도움으로 PC방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게임을 할 수 있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마니아(Starcraft Mania)팀을 꾸리고 있던 감독 이재균은 좋은 프로토스 게이머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박정석을 발탁한다. 당시 1.08패치로 프로토스의 암울기가 시작되던 시기였으나 경인방송 등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2001년에는 신예 프로토스 게이머로서 지난 대회 3위 입상자였던 기욤 패트리를 스타리그 예선에서 꺾고 코카콜라배 스타리그에 진출하면서 처음으로 메이저 무대를 밟는다. 16강에 탈락하기는 하였지만 다음 리그인 2001 스카이배 스타리그에서 전 대회 우승자 임요환을 꺾고 8강에 진출하는 등 가능성을 보이기 시작했다.

2. 2. 전성기 (2002-2005)

SKY배 2002 스타리그에 프로토스 진출자가 박정석을 포함해 2명이라는 역대 최악의 숫자로 진출했으며 그중 한 명이었던 김동수마저 16강에서 3패 탈락한 것에 비해 박정석은 강도경홍진호를 상대로 재경기 끝에 8강 진출,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변길섭을 상대로 2연승을 거두어 4강 진출을 이루어 냈다. 16강 재경기를 포함해 이전 홍진호를 상대로한 모든 경기에서 패배해왔던 박정석은 4강에서 희대의 명경기를 만들어 내며 3대2로 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당시 박정석이 쓰던 하이템플러의 사이오닉 스톰은 마치 신내림을 받은 듯 정확히 상대 병력을 격퇴시켜 ‘무당 스톰’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결승 진출을 계기로 프로토스의 수장 자리에 오르게 된 박정석은 다시 한번 최정상에 군림하기 위해 전승으로 결승에 진출한 ‘황제’ 임요환을 상대로 시종일관 경기를 유리하게 이끌며 3대 1로 스타리그 우승을 이루어 낸다. 그리고 ‘영웅’이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

SKY배 2002 스타리그 우승 이후 거의 모든 스타리그 우승자들이 겪는 우승자 징크스를 겪으며, 성적 부진과 함께 갑작스럽게 추락하게 된다. 이후 KT 롤스터에 현금 트레이드로 입단한 이후 서서히 좋은 성적을 만들어 내면서 임요환, 이윤열, 홍진호와 함께 4대 천왕으로 불리게 된다. 마이큐브배 스타리그에서 지금까지 지켜왔던 물량 위주의 경기 보다는 마인드 컨트롤, 스테이시스 필드 등 전략 위주의 경기를 만들어 내면서 스타리그에서 4위라는 성적을 얻는다.

질레트 스타리그 8강 투어에서의 박정석


두 시즌 후 질레트 스타리그에서 4강에 진출한 박정석은 나도현을 상대로 역사상 가장 큰 마인 대박을 터트리며 두 번째 결승에 올려놓게 된다. 그러나,결승 상대인 박성준에게 로열로드 자리를 내어주고 만다.

스타리그에 비해 MSL에서는 3차 KPGA를 제외하고 이렇다 할 성적이 없었지만 2005년, UZOO MSL 4강에서 당시 3연속 우승을 차지하는 등 MSL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인 최연성을 상대로 자신의 다전제 역사상 처음으로 3대 0 셧아웃시켰으며, 조용호를 상대로는 3대2의 풀세트 접전으로 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그러나, 당시 신예였던 마재윤(현재 영구제명)에게 3대 1로 패배하게 되면서 준우승에 그치게 된다.

  • 2002년 SKY 스타리그 우승
  • 2002년 펩시 트위스트 2차 KPGA 투어(이후 MSL로 알려짐) 준우승
  • 2003년 마이큐브 스타리그 4위
  • 2004년 질레트 스타리그 준우승
  • 2005년 UZOO MSL 준우승

2. 2. 1. 주요 경기


  • 2002년 SKY 스타리그 우승
  • 2002년 펩시 트위스트 2차 KPGA 투어(이후 MSL로 알려짐) 준우승
  • 2003년 마이큐브 스타리그 4위
  • 2004년 질레트 스타리그 준우승
  • 2005년 UZOO MSL 준우승

2. 3. 공군 ACE 및 KT 복귀 (2008-2012)

UZOO MSL 2005 이후 다음 스타리그 8강에 진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개인리그에서 뚜렷한 성적을 내지 못했던 그는 박용욱과 함께 자신을 발탁한 이재균을 찾아가 면담을 통해 공군에 입대하여, 공군 ACE 팀에 합류한다. 공군 ACE에 합류한 이후 2009년 1월 20일송병구를 상대로 입대 후 첫승, 개인전 787일 만에 첫 승을 기록한 것은 물론, 친정팀 KT 롤스터와의 경기에서도 인상적인 스톰 사용을 보이며 새출발을 알렸다.

이후 2009년 2월 11일, 화승 OZ전에서 신예 노영훈과 프로토스의 달인 박지수를 격파하고 2승을 하는등 영웅토스다운 면모를 보였다. 공군 ACE의 중심축으로 프로리그에 꾸준히 출전하면서 승수를 올리고 있다. 2009년 4월 21일 프로리그 08~09시즌 4라운드 KT 롤스터 박지수에게 승리하면서 프로리그 최초의 통산 100승을 달성하였다.

최근 인터뷰에서 "전역 후에도 선수생활 계속 할 것"이라는 뜻을 밝힌 바 있다.

2010년 10월 30일 공군 병장으로 만기 전역하였고, 원팀 KT로 복귀하였다.

2. 4. 은퇴 (2012)

박정석은 2001년 데뷔 후 11년 동안 프로게이머로 활동하였다. 공군 전역 후 KT 롤스터 소속으로 계속 활동하였으나, SK플래닛 프로리그에서는 출전하지 못했고, 팀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였다. 2012년 3월 28일 프로게이머 은퇴를 선언하였고, 프로리그 결승이 끝나는 4월 8일 공식 은퇴하였다. 프로게이머 시절 마지막 결승이었지만 팀은 우승을 하지 못했다.

5월 6일 서울 올레 스퀘어에서 은퇴식을 치러 프로게이머 생활을 마감하였으며, 같은 날 은퇴가 공시되었다.

3. 감독 경력

2012년 5월 31일 나진 e-엠파이어의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홍진호의 뒤를 이어 두 번째 프로게이머 출신 감독이 되었다. 2015년 12월 1일에는 CJ 엔투스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2017년 5월 23일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승격 실패의 책임을 지고 자진 사퇴하였다.

3. 1. 나진 e-엠파이어 (2012-2015)

3. 2. CJ 엔투스 (2015-2017)

4. 프레딧 브리온 단장 (2020-)

박정석은 2020년 6월 2일 프레딧 브리온의 단장으로 5년만에 친정팀에 복귀했다. 2001년 5월 웅진 스타즈의 창단 멤버로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하여, SKY 스타리그 2002에서 임요환을 꺾고 우승하며 '''영웅토스'''라는 별명을 얻었다. 2003년 KT 롤스터로 이적하여 전성기를 구가했으나, DAUM 스타리그 2007 이후 개인리그에서 부진했다. 2008년 공군 ACE에 입대하여 2009년 프로리그 사상 최초 100승을 달성했다. 2010년 제대 후 KT 롤스터로 복귀, 2011년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2012년 은퇴 후 나진 e-엠파이어와 CJ 엔투스 LOL팀 감독을 역임했다.

5. 수상 경력

wikitext

'''스타크래프트1 최종 전적 (11.07.01 기준)'''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321169–15252.6%
대 저그394201–19351.0%
대 프로토스15184–6755.6%
총합866454–41252.4%



'''개인 수상'''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1회, 준우승 3회'''[6]


  • 2001년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 2001년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8강
  • 2002년 GhemTV 스타리그 S1 16강
  • 2002년 리복배 2002 KPGA 2차리그 16강
  • 2002년 펩시트위스트배 2002 KPGA 3차리그 준우승 (0:3 이윤열)
  • 2002년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3:1 임요환)
  • 2002년 배스킨라빈스배 2002 KPGA 4차리그 16강
  • 2002년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 2002년 대한민국 게임대상 올해의 프로게이머상
  • 2003년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쉽 10강
  • 2003년 KTF Bigi배 4대천왕전 3위
  • 2003년 벼룩시장 FindAll배 GhemTV 챌린저 오픈 3위
  • 2003년 Toona배 Big4 스페셜 준우승 (0:2 임요환)
  • 2003년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4위 ( 2:3 박경락)
  • 2003년 KBC 파워게임쇼 4대천왕전 3위
  • 2003년 KT-KTF 프리미어 리그 2003 본선
  • 2004년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8강
  • 2004년 질레트 스타리그 2004 준우승 (1:3 박성준)
  • 2004년 EVER 스타리그 2004 3위 ( 3:2 홍진호)
  • 2004년 KT-KTF 프리미어 리그 2004 8강 (준PO)
  • 2005년 아이옵스 스타리그 04~05 16강
  • 2005년 EVER 스타리그 2005 8강 ( 1:2 박태민)
  • 2005년 우주 MSL 2005 준우승 (1:3 마재윤)
  • 2005년 WEF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3위
  • 2005년 So1 스타리그 2005 8강 (0:2 임요환)
  • 2005년 블리즈컨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1:2 홍진호)
  • 2005년 CYON MSL 2005 8강 ( 0:2 성학승)
  • 2006년 WWI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4강
  • 2006년 프링글스 MSL 시즌1 16강
  • 2006년 CJ 슈퍼파이트 S2 준우승 (0:3 이윤열)
  • 2006년 IEST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2:0 장밍루)
  • 2006년 레노버 인터내셔널 e-스포츠 토너먼트 우승
  • 2007년 Daum 스타리그 2007 8강 ( 1:2 송병구)
  •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64강 2R (1:2 우정호)
  • 2009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 32강 ( 0:2 이영호)
  • 2009년 e스타즈 서울 2009 스타크래프트 헤리티지 8강
  • 2009년 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 4강 ( 1:2 이윤열)
  • 2009년 2009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우정상
  •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2 36강 (0:2 구성훈)
  • 2012년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


'''팀단위 수상'''

  • 2004년 SKY 프로리그 2004 2라운드 개인전 다승왕 (공동)

5. 1. 선수 시절

'''스타크래프트1 최종 전적 (11.07.01 기준)'''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321169–15252.6%
대 저그394201–19351.0%
대 프로토스15184–6755.6%
총합866454–41252.4%



'''개인 수상'''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1회, 준우승 3회'''[6]


  • 2001년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 2001년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8강
  • 2002년 GhemTV 스타리그 S1 16강
  • 2002년 리복배 2002 KPGA 2차리그 16강
  • 2002년 펩시트위스트배 2002 KPGA 3차리그 준우승 (0:3 이윤열)
  • 2002년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3:1 임요환)
  • 2002년 배스킨라빈스배 2002 KPGA 4차리그 16강
  • 2002년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 2002년 대한민국 게임대상 올해의 프로게이머상
  • 2003년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쉽 10강
  • 2003년 KTF Bigi배 4대천왕전 3위
  • 2003년 벼룩시장 FindAll배 GhemTV 챌린저 오픈 3위
  • 2003년 Toona배 Big4 스페셜 준우승 (0:2 임요환)
  • 2003년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4위 ( 2:3 박경락)
  • 2003년 KBC 파워게임쇼 4대천왕전 3위
  • 2003년 KT-KTF 프리미어 리그 2003 본선
  • 2004년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8강
  • 2004년 질레트 스타리그 2004 준우승 (1:3 박성준)
  • 2004년 EVER 스타리그 2004 3위 ( 3:2 홍진호)
  • 2004년 KT-KTF 프리미어 리그 2004 8강 (준PO)
  • 2005년 아이옵스 스타리그 04~05 16강
  • 2005년 EVER 스타리그 2005 8강 ( 1:2 박태민)
  • 2005년 우주 MSL 2005 준우승 (1:3 마재윤)
  • 2005년 WEF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3위
  • 2005년 So1 스타리그 2005 8강 (0:2 임요환)
  • 2005년 블리즈컨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1:2 홍진호)
  • 2005년 CYON MSL 2005 8강 ( 0:2 성학승)
  • 2006년 WWI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4강
  • 2006년 프링글스 MSL 시즌1 16강
  • 2006년 CJ 슈퍼파이트 S2 준우승 (0:3 이윤열)
  • 2006년 IEST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2:0 장밍루)
  • 2006년 레노버 인터내셔널 e-스포츠 토너먼트 우승
  • 2007년 Daum 스타리그 2007 8강 ( 1:2 송병구)
  •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64강 2R (1:2 우정호)
  • 2009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 32강 ( 0:2 이영호)
  • 2009년 e스타즈 서울 2009 스타크래프트 헤리티지 8강
  • 2009년 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 4강 ( 1:2 이윤열)
  • 2009년 2009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우정상
  •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2 36강 (0:2 구성훈)
  • 2012년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


'''팀단위 수상'''

  • 2004년 SKY 프로리그 2004 2라운드 개인전 다승왕 (공동)

5. 2. 기타


  • 프로리그 연승 2위 기록은 14연승이다.
  • 프로리그 사상 최초로 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 2009년 4월 21일까지 프로리그 다승 1위(101승 71패)를 기록했다.
  • 프로토스 선수 중 스타리그 12회 진출로 2위를 기록했다. (1위는 송병구의 13회)
  • 프로토스 최초로 양대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 온게임넷 테란전 9연승을 달성했다.
  • MBC게임 테란전 연승 2위는 11연승이다. (1위는 허영무의 12연승)
  • 공군 최초로 TG삼보 인텔 클래식 32강에 진출했다.
  • 역대 최고령 스타리그 본선 진출 기록(26세 5개월 15일)을 가지고 있다.
  • 프로리그 200전 달성은 4번째로 달성했다.

6. 별명

프로토스 종족 중 최고의 기량을 선보이는 박정석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프로토스의 최고 영웅으로 남고 있다. 임요환을 꺾고 SKY 스타리그 2002에서 우승과 동시에 가을의 전설을 이뤘다.

7. 평가 및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Player Information - Reach http://teamliquid.ne[...] TeamLiquid Progaming DataBase 2007-09-04
[2] 뉴스 스타크래프트2 체험 박정석: 손맛은 그대로, 전술은 글쎄? http://isplus.joins.[...] JoongAng Ilbo 2007-09-04
[3] 뉴스 탈락하면 부산으로 내려갈거라예 http://game.chosun.c[...] The Chosun Ilbo 2007-09-04
[4] Youtube - YouTube https://www.youtube.[...]
[5] 뉴스 공군 박정석, 감격의 100승 달성! http://gmnews.afreec[...] 아프리카 게임TV 2009-04-22
[6] 문서 스타리그 1회 우승, 1회 준우승. MSL 2회 준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